분뇨 정화조(糞尿淨化槽)에서 냄새가 나지 않게 하려면
분뇨 정화조 주변의 도로를 지날 때면 심한 악취를 맡게 됩니다. 특히 대형건물 주변은 상당한 거리에서도 냄새가 나고 주택의 경우는 출입문에 가까운 곳에 분뇨 정화조가 있기 때문에 집으로 들어가면서 냄새를 맡게 됩니다.
정화조의 분뇨를 구더기가 분해하면서 발효시키면 냄새가 나지 않은데 변기에 소독이나 비눗물 등을 넣기 때문에 정화조에 구더기가 살 수 없어서입니다. 정화조에 ‘냄새 제거제를 사용하거나 천연 미생물을 넣어 분뇨를 분해시킨다.’고 하는데 이는 일시적이거나 번거롭고 완벽하지도 못 합니다.
분뇨 정화조에 구더기가 살게 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정화조를 푼 뒤부터는 변기에 깨끗한 물만 통과하도록 하세요. 곧 정화조에 구더기가 생기고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자신과 주변의 정화조에서 냄새가 나지 않게 하여 건강에 보태시고 공기의 오염을 막는데 일조하도록 널리 알려 주시면 보람이겠습니다.
'산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발력 테스트 (0) | 2016.03.05 |
---|---|
탈모를 줄이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15.12.23 |
대소변을 볼 때 지켜야 할 두 가지 (0) | 2014.03.07 |
웃음은 이래서 좋습니다 (0) | 2014.02.24 |
일상생활에 유익한 상식(종합) (0) | 201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