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겉모습을 보고 건강을 챙기기☺
누구에게나 사람에게 제일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건강이라고 할 것입니다.
살아오면서 체험한 것과 10년 동안의 보고 들은 자료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자신은 물론 사랑하는 가족과 친지의 겉모습을 보면서 건강을 챙기는데 참고하여 도움이 되신다면 보람입니다.
귀(두 귀)와 이마가 검어진다 ☞ 신장에 이상.
귀가 검어지고 모발이 잘 빠진다 ☞ 신장에 열.
귀가 얇고 단단하지 않다 ☞ 신장이 약하고 요통에 잘 걸림.
눈꼽 ☞ 눈물, 먼지, 세균 등의 여러 가지가 혼합된 경우가 많음 → 그대로 지내기가 곤란하면 손을 잘 씻고 붕산수솜으로 씻어내면 되는데 병적인 것이면 의사의 치료를 받으세요.
눈 밑이 검다 ☞ 간이나 위가 좋지 않음→포도, 딸기 주스, 상추, 눈 밑 지압점을 눌러주세요.
눈 아래 와잠부의 살집이 여위어 있다 ☞ 담낭의 기능이 약함.
눈의 수정체가 혼탁하게 보인다 ☞ 백내장 의심.
눈의 충혈 ☞ 외부의 충격, 과로가 원인의 대부분이나 병적이 경우도 있음.
눈의 흰자위(공막)가 노랗다 ☞ 간의 이상이나 당뇨병의심.
눈의 흰자위(공막)가 맑고 윤기가 난다 ☞ 건강함
눈이 메말라 껄끄럽고 뻑뻑하며 침침해지고 눈이 붉게 충혈되고 아프며 눈물이 자주 흐르고 눈앞에 꽃 같은 게 어른거리고 어지럽다 ☞ 간에 이상.
등판을 이루고 있는 견갑골부위의 살집이 야위거나 턱 부터 귀 앞까지 부어 있다 ☞소장이 약함.
머리정수리 탈모 ☞ 위의 장애.
머리털에 윤기가 없고 새끼손가락이 야위거나 구부러 지며 손가락이 화끈거리고 아프기도 한다 ☞ 심장이 약함.
머리털이 튼튼하고 윤기가 있다 ☞ 건강함.
목이 굵고 유방과 가슴이 발달해있다 ☞ 위의 용적이 크고 기능도 좋음.
발가락이 누렇게 변했을 때 ☞신장과 간장이 약하여짐.
발의 둘째, 셋째 발가락이 뒤틀리거나 굳고 통증을 동 반할 때 ☞위장에 이상이 있을 수 있음.
발이 부을 때 ☞ 피로하면 누구나 이런 증상이 나타나 지만 자고 일어나서도 증상이 계속되면 간 기능의 저 하를 의심해 볼 수 있음.
발이 저릴 때 ☞ 혈액순환이 순조롭지 못함.
발이 푸른색을 띨 때 ☞아드레날린이나 인슐린 이상에 따른 당뇨병을 의심할 수가 있음.
볼에 뾰루지가 난다 ☞ 위가 안 좋다→과식을 말자, 오 랜지주스, 꿀차.
새끼손가락 손톱이 작고 위축되어 있다 ☞ 생식능력의 결여로 불임증이 되기 쉬움.
손가락(두 번째) 끝이 네모이다 ☞ 담석증에 걸리기 쉬움.
손가락(새끼손가락)이 휘거나 지나치게 야위다 ☞ 소 장이 약함.
손가락(새끼손가락)이 휘고 야위고 작다 ☞ 생식기 발육이 안 좋음.
손가락(세 번째)의 형태나 색깔에 이상이 있다 ☞ 심 장, 순환기 계통이 약함.
손끝이 원추형이다 ☞ 흉부질환에 걸리기 쉬움.
손끝이 주걱모양이거나 그 길이가 정상인의 1/2정도로 짧으며 양옆이 모나고 손톱 끝 횡단면이 사다리꼴이 다 ☞ 심장에 이상이 있음.
손바닥살집(엄지손가락 ; 어복)이 도톰하고 색이 좋다 ☞위의 기능이 좋음.
손바닥살집(엄지손가락 ; 어복)이 얇고 푸른색이 돈다 ☞위의 기능이 약함.
손톱 색이 푸르거나 검은빛을 띤다 ☞ 심장이 나쁨.
손톱 중앙이 푹 들어갔다 ☞ 철결핍성이거나 빈혈임. 손톱중앙이 둥글게 말렸다 ☞ 폐계통이 좋지 않음.
손톱모양이 반달에 가깝다 ☞ 신장과 방광에 이상이 있음.
손톱몸통이 평평하고 주름이 많으며 양옆이 딱딱하게 굳어 있고 회백색을 띠며 손톱뿌리부분의 홍자색을 띤 곳에 주름이 있다 ☞심장에 이상이 있음.
손톱의 가로주름이 많고 반월이 없다 ☞ 심장이 아주 약함.
손톱의 길이가 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부터 손끝까지 길이의 1/2이상이 될 정도로 길고 위에서 보면 둥그 스름하여 손톱 폭도 넓고 손톱 끝 횡단면이 반달모 양이다 ☞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움.
손톱이 청백색이다 ☞ 심장이나 폐의 질환이 의심됨.
손톱이 하얕다 ☞ 빈혈, 말초신경혈액장애.
얼굴색이 어둡다 ☞ 신장이 안 좋다, 피로하거나 스트레스, 수면부족으로도 → 옥수수수염차, 감잎차. 산수유차
얼굴에 붉은 빛을 띤다 ☞ 심장이 안 좋다→다시마가루, 감잎차
얼굴에 윤기와 혈색이 없어 보이고 왠지 푸른빛이 돌 며 얼굴이 창백하다 ☞ 폐에 이상이 의심됨→뽕잎차, 율무팩, 살구씨팩.
얼굴에 혈색이 없고 창백하다 ☞ 혈액순환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뽕잎차, 부추, 호두, 새우, 인삼, 찹살
얼굴의 기미(후천적)와 주근깨(선천적) ☞ 간과 신장 등의 혈액순환에 이상이 있음 → 알로에, 레몬, 녹차 등으로 팩.
얼굴이 거무스레하다 ☞ 신장의 이상을 의심할 수 있 고 피로가 쌓이거나 스트레스, 잠이 부족할 때도 나 타날 수 있음→감잎차, 산수유차, 바나나, 녹두팩.
얼굴이 검고 푸르스름하다 ☞ 간이 안 좋음→오가피차, 바지락, 부추.
얼굴이 노랗다 ☞ 담즙이 제대로 내려가지 못하고 피부로 나타남→모과차, 양배추, 사과, 감자. 천천히 잘 씹어 먹고 규칙적인 식사를 하세요.
얼굴이 술 마신 것처럼 붉다 ☞ 심장의 활동이 지나치게 왕성하거나 몸에 열이 있음→녹차, 구기자팩.
얼굴이 희며 윤기가 있고 불그스름하다 ☞ 건강함.
이마에 뾰루지가 난다 ☞ 폐가 안 좋음→우유(소화가 안 되는 사람은 피할 것), 매실, 케일주스, 음식이나 운동으로 땀을 내세요.
인중부위가 짧고 희미하다 ☞ 자궁이 극도로 약하거나 불임의 경향을 띔.
인중이 헐거나 색깔에 이상이 나타난다 ☞ 음경 끝 팽 대부인 귀두에 생긴 염증으로 통증, 고름, 발적, 배뇨 통 등이 있음.
입술 검거나 푸르스름하다 ☞ 심장의 혈액부족→당귀 차, 생기황차, 홍화잎차
입술색이 지나치게 붉다 ☞ 열이 많고 피가 넘침.→ 당귀차, 생기황차, 인황잎차
입술에 물집이 생기거나 부어오른다 ☞ 면역기능의 저 하상태(비장이 약해지면 몸이 피곤하고 저항력이 약 해짐)→인삼차, 황기차
입술에 뾰루지가 난다 ☞ 자궁, 방광에 혈액순환장애 (생리불순이나 냉대하등으로 자궁주변에 혈액이 부족 하거나 순환이 잘 되지 않음)→당귀차, 천궁차
입술에 핏기가 없다 ☞ 빈혈증이 있음(증상이 계속되면 혈액 중 적혈구 수나 헤모글로빈의 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악성빈혈이 생길 수 있음)→당귀차, 홍화잎 차, 생기황차
입술이 두툼하고 인중이 길고 또렷하다 ☞ 소장의 기 능이 좋음.
입술이 바짝바짝 마른다 ☞ 간 기능이 뚝 떨어졌음.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지나치게 긴장하여 뇌신경 에 무리를 주고 있음) → 박향차
입술이 자주 튼다 ☞ 비장과 위가 건강하지 않음→참 외, 고구마, 흑설탕차
입술이 잘 트고 갈라진다 ☞ 위장에 열이 많음(특히 비 타민B2가 부족하면 심함→백출차, 박항차
입술이 창백해지거나 황색을 띤다. 입 냄새도 심해지고 입안이 텁텁해지고 잘 마르며 잘 헌다 ☞ 비장에 이상이 있음.
입안이 잘 헌다 ☞ 폐에 열이 있음.
입안이 잘 헐고 앞대머리가 되기 쉽다 ☞ 폐에 병이 있음.
코가 붓고 막혀서 냄새를 못 맡는다, 콧방울을 들먹거 리고 호흡이 곤란하다 ☞ 폐에 이상이 있음.
코끝이 붉다 ☞ 비장에 열이 있다, 알콜중독도.
콧구멍이 뻥 뚫려 시원하며 코에서 턱까지 살집이 좋 고 색깔도 좋다 ☞ 대장이 건강함.
콧바람이 세다 ☞ 방광이 강함.
콧바람이 약하다 ☞ 방광이 약함.
콧방울주위가 누런빛을 띤다 ☞ 방광이 약함.
피부가 두툼하고 매끄럽다 ☞ 대장이 두껍고 유통도 좋음.
혀가 검붉거나 얼룩얼룩 자색반점이 보인다 ☞ 위에 어혈이 있음.
혀가 남색이 되는 수가 많다 ☞ 폐가 약함.
혀가 선홍색을 띤다 ☞ 건강함.
혀가 수축된다 ☞ 심장에 병이 있음.
혀가 울퉁불퉁한 요철(齒痕)이 보인다 ☞ 간이 피곤함.
혀끝이 빨갛게 된다 ☞ 심장에 열이 있음.
혀뿌리에 설태가 없다 ☞ 신장의 열 에너지원이 부족 한 냉증임.
혀뿌리에 흑태가 보인다 ☞ 신장기능저하로 허혈이 있 음.
혀에 검은 설태가 낀다 ☞ 열이 심하거나 영양결핍, 중병임.
혀에 검은 점이 1~2개 나타난다 ☞ 콩팥이 약함.
혀에 누런 설태가 낀다 ☞ 위에 열이 몰림.
혀에 혓바늘이 벌겋게 올라온다 ☞ 혀에 열이 몰렸음.→생강을 두껍게 꿀을 발라 혓바닥을 문지르세요.
혀의 가장자리가 청자색이다 ☞ 간에 어혈이 있음.
혀의 부분 부분이 얼룩져 있다☞ 과민성체질이거나 기생충감염임.
혀의 색이 짙다 ☞ 혈액순환이 좋지 않음.
혀의 색이 희미하거나 엷다 ☞ 몸이 피곤함.
혀의 설태가 노랗다 ☞ 변비가 있거나 몸에 열이 많음.
혀의 설태가 두껍다 ☞ 수분대사가 나빠�다→기름진 음식이나 단 음식을 피하자.
혀의 설태가 엷고 희다 ☞ 위, 비장의 기능이 허하고 냉함.
혀의 설태가 짙은 회백색을 띠거나 층이 두껍다 ☞ 컨디션이 좋지 않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신종플루(H1N1)예방법 ☆ (0) | 2009.08.28 |
---|---|
암을 극복 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 (0) | 2009.08.11 |
대변의 관찰로 건강살피기 (0) | 2008.09.19 |
건강에 좋은 분재 (0) | 2008.09.01 |
광우병 (0) | 2008.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