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의 편리한 여름 등산로
오랫동안 무등산을 즐기면서 여름철에는 햇볕을 덜 받으며 걸을 수 있는 만보가 조금 넘는 길을 익혔기에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이용을 권장코자 올립니다.
무더위에 많이 이용하여 건강에 보태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운을 빕니다. 고맙습니다.
요약 :무등산장 버스종점 ⇒정상 쪽으로 가는 무등산옛길(오르막길 시작) ⇒아스팔트길 ⇒원효사 ⇒늦재 쉼터(오르막길 끝) ⇒늦재사거리 ⇒바람재 ⇒토끼등 쉼터 ⇒봉황대 ⇒천제단사거리 ⇒천제단을 왼쪽으로 감고 도는 길(내리막길 시작) ⇒함안윤씨 묘 ⇒중머리재에서 내려오는 길과 만나는 삼거리 ⇒송풍정 ⇒왼쪽 길(급경사) ⇒약사암 입구 삼거리(급경사는 끝났으나 내리막길)⇒증심사 버스종점
큰 길로 가지 않고 정상을 향하는 오솔길(무등산옛길)로 들어갑니다.↓
출입통계 센서를 지나↓
오른쪽 길로 들어갑니다. 여기서부터 오르막길인데 최대한 숲 그늘 밑을 통과합니다.
무등산 국립공원사무소에서 등산의 묘미를 몰라서 그런지 이길을 막으려 합니다.
막는다면 바르게(외길이 됨) 가다가 큰길이 나왔을 때 오른쪽으로 올라갑니다.↓
여기서부터 큰길로 아스팔트길입니다.↓
원효사 샛문입니다. 물을 마시기 위하여 들어갑니다.↓
감로수(甘露水)라고 명명한 약수터에서 1리터 정도의 물을 마십니다.↓
원효사에서 나와 늦재 쪽으로 갑니다. 여기서부터는 경사가 조금 급합니다.↓
늦재 삼거리 쉼터입니다. 여기서 잠시 쉬면서 땀을 식힙니다.↓
바람재 쪽을 향하여 갑니다. 여기서부터는 경사가 적어서 길이 순탄합니다.↓
늦재사거리로 계속 큰길로 갑니다.↓
귀여운 비들기가 재롱을!↓
다람쥐도 "반갑다"며 재롱을!↓
‘덕산정’ 화암마을 위에 있으니까 화암정이라고 해야 하는데 덕산정으로 잘못된
이름인데 화암마을 사람들이 알면 서운하겠어요. 언제 시정이 될 것인지!
여기서 포장도로는 끝나고 모래가 깔린 길입니다.↓
여기가 그 유명한 바람재입니다. 쉼터에 있으면 아무리 바람이 없는 날도
바람이 불어주니 쉴만합니다. 겨울이면 반갑지 않은 바람이라 바람막이를 칩니다.↓
토끼등 쪽으로 갑니다. 여기서부터는 약간 내리막입니다.↓
너덜겅약수터에서 또 물을 마십니다.↓
아래쪽에는 편백숲 그늘에서 많은 사람이 편히 쉽니다.↓
토끼등 광장. 쉼터, 나무의자에서 조금 쉽니다. 큰길은 여기서 끝납니다.↓
봉황대로 가는 도중에 돌샘약수터 쉼터가 있습니다.↓
봉황대 쉼터↓
천제단사거리↓
천제단쪽으로 가다가 왼쪽 길로 들어갑니다.↓
움푹 페인 곳을 지납니다.↓
두 방향 중 오른쪽 길로 갑니다.↓
함안윤씨 묘가 있습니다. 여기서 왼쪽 길로 내려갑니다. 경사가 조금 급합니다.↓
중머리재에서 내려오는 길과 만남. 내리막길인데 경사가 급하지 않아서 좋습니다.↓
송풍정에 이르렀습니다. 여기서 증심사 쪽은 계단이 많아서
좋지 않으니 약사암 입구 삼거리 쪽으로 갑니다.↓
급경사의 내리막길로 포장도로입니다↓
약사암 입구 삼거리에 왔습니다. 여기서부터는 급경사가 아닙니다.
증심사 버스종점 쪽으로 갑니다.↓
증심사 입구 삼거리. 의재미술관 앞.↓
토끼등 입구 삼거리(증심교), 여기서부터는 햇볕을 피할 그늘이 없습니다.↓
개울을 건너 그늘이 있는 길로 걷습니다. 만약 신발이 더러우면 오던 길을 그대로
내려오면서 신발청소장에서 신발을 씻고 큰길로 내려옵니다. 햇볕에 많이 노출됩니다.↓
증심사 버스종점에 이르러 즐거운 산행을 마칩니다.↓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야도의 아늑한 산책로 (0) | 2013.09.28 |
---|---|
무등산 국립공원으로 승격한 보람(광주 쪽) (0) | 2013.09.11 |
고창 청보리밭을 거닐며 낭만에 젖다 (0) | 2013.05.06 |
맑은 날 남이섬에 가다 (0) | 2013.05.02 |
무등산에서 눈을 즐기는 사람들 (0) | 2012.12.30 |